검색결과 리스트
글
제국의 귀태 - 박정희와 기시 노부스케
강상중은 <<기시노부스케와 박정희>>(책과함께, 2012)에서 박정희를 <제국의 귀태>라고 표현했다.
태어나지 말았어야 했다는 것은 당연히 그의 생물학적 존재에 대해 말하는 것이 아니다.
만주국이라는 희대의 괴뢰국이 박정희라는 사회적 존재를 낳았고,
그것이 있어서는 안 될 일이었다는 뜻이다.
경북 문경의 어느 소학교 선생으로 있던 박정희는 만주국의 육군군관학교에다
천황에게 충성을 바치겠다는 혈서를 써서 보냈다.
그것 때문이었는지는 알 수 없으나, 분명 그런 돌출행동이 눈에 띄었을 것이고(이 사건은 신문에까지 보도된다),그는 몇 가지 자격 요건상 결격 사유가 있었음에도 만주군관학교에 입학하게 된다.
뛰어난 성적으로 이 학교를 졸업한 그는 다시 일본육사에 진학하게 되는데,
그가 해방 후에 여러 우여곡절을 넘기고,
5.16 후 일본과 국교를 회복하고 차관을 들여오는 과정에서
바로 이 만주국 인맥을 활용한다.
그 인맥 중에 하나는 이 책의 주인공 중 하나인 기시 노부스케도 포함된다. 그는 만주국의 정책을 좌우하던 고위 관료였고, 전후 일본 총리를 역임한다.
박정희가 만주국의 귀태라는 것은
그가 추진한 경제개발오개년개획과 같은 숱한 정책들이 만주국에서 실험되었던 것이기 때문이기도 하다.
심지어 국기에 대한 맹세나 반상회 같은 것도 만주국에 저작권이 있다고 한다.
제국의 귀태는 박정희만이 아니다.
애국조회와 운동회 같은 것 역시 태어나지 말았어야 할 제국의 아이들이기 때문이다.
<귀태>라는 말이 한국어 사전에 올라 있기는 하다.
그러나 아마 일본어 사전을 베끼다 함게 올라 갔을 것으로 보이는 이 <귀태>라는 말 자체가, <제국의 귀태>는 아닐까.
<자궁 속이 포도송이처럼 되어 태아의 형태가 없어지는 병>을 원래의 뜻으로 하는 이 말은,
결국, 자궁 이상으로 아이가 유산된다는 의미이다.
소위 일본의 '국민작가' 시바 료타로가 이 말을 '태어나지 말아야 할 존재.'라는 뜻으로 썼다는데,
한국어 사전에는 아직도 이러한 <제국의 귀태>가 부지기수로 널려 있는 것 아닌가.
'책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언어적 근대의 기획 - 주시경과 그의 시대 (0) | 2013.12.19 |
---|---|
굴드, 풀하우스, 변이 - 메모 (0) | 2013.12.17 |
은유로서의 언어 (3) (0) | 2013.07.10 |
은유로서의 언어 (2) (0) | 2013.07.09 |
맑스주의와 언어학 (0) | 2013.07.09 |